본문 바로가기

Network

iptime으로 DDNS와 포트포워드(Port Forward) 설정

Apache 설치 (CentOS 7)

 

DDNS : Dynamic DNS (DNS : Domain Name System)

Port Forwarding : 외부에서 접속 시 내부 기기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위 두 개를 이용하여 trevit.tistory.com과 같은 주소를 입력하면 내 컴퓨터의 http서버로 들어오게 만들 것이다.

 


 

DDNS를 설정하면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다.

192.168.0.1로 접속 - 관리 도구 클릭

이름 : 마음대로

ID : 실제로 사용하는 이메일을 적으면 된다. (외부에서 설정을 바꾸거나 패스워드를 까먹었을때 사용. 근데 난 왜 암호칸이 없지)

그리고 DDNS 등록을 누른다.

 

 

등록을 했으니 정상적으로 됐는지 확인해야 한다.

원격 관리 포트에 적힌 숫자가 80으로 되어있을 거다.

http를 80으로 쓸 것이기 때문에 다른 숫자로 바꾸고 적용 (체크를 풀어줘도 된다)

 

위에서 설정한 호스트네임(*.iptime.org)과 원격 관리 포트를 이용해 확인해보자.

등록한호스트:포트번호(ex. host.iptime.org:3545)로 들어가면 192.168.0.1로 접속한 화면과 같아야 정상이다.

 - 인터넷만 연결되는 곳이라면 외부에서도 들어와진다.

 

 

입력할 때마다 포트번호를 눌러줄 수는 없으니 포트포워딩 설정을 해줄 것이다.

새 규칙 추가가 선택된 상태에서 아래 칸을 채워야 한다.

 

규칙이름 : 마음대로

내부 ip주소 : 현재 컴퓨터를 http 서버로 쓸 거면 '현재 접속된 ip 주소'를 체크해주면 된다. 아닐 경우 내부 ip주소 입력

외부/내부 포트 : 둘 다 왼쪽 칸에만 80 적어주면 된다.

 -외부의 어느 포트로 접속하면 내부 어느 포트로 받아들일 건지 설정하는 곳이다.

 

적용을 누르면 된다.

 

이제 포트번호 없이 DDNS에서 설정한 주소만 입력해서 들어가도 localhost(또는 IP주소)를 입력해서 들어간 화면이 뜬다.

내가 어디에 있든 인터넷이 터지는 곳에만 있다면 무조건 들어와 진다.

 

 

 

혹시localhost로 들어간 화면이 아니라 아래 화면이 뜬다면

이런 화면이 뜬다면 브라우저의 쿠키를 삭제한 후 다시 접속하면 된다. (/login/login.cgi 는 다를 수도 있음.)

 


 

index.html 작성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ache 설치  (0) 2020.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