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Apache 설치

Linux(CentOS 7) 기준입니다.

 

Apache로 사이트를 만들 것이다.

iptime의 DDNS를 사용할 것이다.

 


 

Apache 설치는 매우 쉽다.

yum install -y httpd

설치는 끝났다.

 

그리고 방화벽을 설정해준다. 아래 순서대로 입력

1.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

2.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s

3. firewall-cmd --reload

 

httpd를 실행시켜준다. 방법은 두 가지

1. service httpd start

2. systemctl start httpd

중지하고싶다면 start대신 stop으로 하면 된다.

 - 1로 켜고 2로 꺼도 되고, 2로 켜고 1로 꺼도 된다.

 

부팅 시 자동으로 httpd를 실행시키고 싶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

systemctl enable httpd

자동실행을 그만두려면 enable대신 disable

 

주소창에 localhost(또는 IP주소)를 입력하면 아래 사진처럼 페이지가 뜰 것이다.

Apache가 불러와진다. 이제 이 화면을 없애고 내가 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var/www/위치에 index.html이 기본 파일이다.

바뀌었다. /var/www/html/위치에 있는 index.html이 기본 파일이다.

localhost(또는 IP주소)를 들어가면 저 위치의 index.html파일이 제일 처음 불러온다는 뜻이다.

하지만 지금은 그 위치에 index.html파일이 없다. 그래서 아파치화면이 뜬다.

 

cd /var/www/html

vi index.html (vi 또는 gedit)

아무 글이나 적고 저장 후 종료.

localhost(또는 IP주소)에 들어가면 위 아파치 페이지는 없어지고 내가 적은 글이 나온다.

 

 

그전에 내가 만든 페이지를 외부에서 접속하여 볼 수 있게 하려면 DDNS와 포트포워드 설정을 해야 한다.

 - 필요 없다면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니 그냥 넘어가도 된다.

 


 

index.html 작성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ime으로 DDNS와 포트포워드(Port Forward) 설정  (0) 2020.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