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CentOS

rclone로 Onedrive 마운트 후 시스템 부팅 시 자동 마운트

CentOS 7 기준입니다.

 

rclone은 여러 가지 클라우드를 마운트 시켜주는 프로그램입니다.

Onedrive 말고도 Dropbox, Google Drive, Mega 등 많은 클라우드가 제공됩니다.

 

클라우드마다 진행 내용이 다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설치방법은 여기로 들어가면 다른 방법들도 있지만 rpm으로 바로 설치한다.

AMD64 - 64bit의 rpm으로 다운받고 rpm -ivh rclone*.rpm으로 설치 완료

 

 

이제 마운트만 남았다.

터미널에서 rclone config입력

나는 미리 등록해놔서 메뉴가 많이 뜨지만 등록해놓은 게 없다면 4개인가 그 정도밖에 안 뜬다.

 

 

1. 새로 등록하기 위해 n입력

 

2. name> 이름 입력 (ex. onedrive, 본인 아이디 등)

목록이 36개나 뜬다. 업데이트가 될수록 더 많아질 것이다. 많아졌다면 번호가 바뀔 수도 있으니 참고.

 

3. 현재는 Onedrive가 23번이다. 23 입력

4. id와 secret은 지금 입력하면 안 된다. 아무 입력도 하지 말고 엔터로 넘긴다.

id와 secret 모두 빈 공간

 

5. n

 

6. y

입력하면 자동으로 인터넷이 열리며 로그인하는 창이 뜰 것이다.

 

7. 로그인 후 쭉 진행하면

이런 화면이 뜬다. 이 창은 닫아도 된다.

 

8. 작업하던 터미널을 보면 화면이 바뀌었다. 1 입력

9. 0 입력

10. y

11. y

등록은 끝났다.

 

q를 눌러 빠져나온다.

이제 마운트 할 폴더를 만들어야 한다. (/mnt로 해도 된다.) 이 폴더는 정해진 게 아니다. 마운트 할 때마다 지정할 수 있다.

난 ~/onedrive로 하겠다. 아래 명령어로 해당 폴더에 마운트 시킨다.

rclone -vfs-cache-mode writes mount test: ~/onedirve

마운트 한 터미널은 움직이지 않는다. 새 터미널을 열어 폴더로 들어가 보면 마운트 되었다.

 

 

 

명령어가 너무 길다.. 쉽게 줄이자.

vi ~/.bachrc 입력 (vi 대신 gedit 가능)

제일 아래에 alias로 명령어를 만들자.

 alias onedrive='rclone --vfs-cache-mode writes mount test: /root/onedrive' 

저장 후 빠져나온다. source ~/.bachrc를 입력하면 적용된다.

이제 onedrive만 입력해도 /root/onedirve에 자동으로 마운트 된다.

 

 

 

그리고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 시키는 방법도 있다.

rc.local, bashrc 등 몇 가지 방법을 시도해봤지만 내가 못해서 그런지 ... 다 실패했다.

부팅이 안 돼서 복구 모드로 복구한 것만 수십 번.

 

새로운 방법을 찾았다. 터미널에서 gnome-session-properties입력

이런 창이 뜬다. 시스템 실행 시 체크되어있는 목록을 자동으로 실행해주는 창이다.

 

추가

Name : 원하는 이름

Command : rclone --vfs-cache-mode writes test: /root/onedrive

Comment : 원하는 설명

 

입력 후 추가를 누르면 끝난다.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자동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등록하면서 로그인한 것 때문에 같은 클라우드로 여러 계정을 등록하려고 하면 자동으로 Success! 가 뜰 수도 있다. 해당 사이트로 이동해 로그아웃을 해주면 된다.

근데 onedrive 같은 경우 ms사이트로 들어가도 로그인이 안 되어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등록하려고 하면 자동으로 이전에 입력했던 계정이 로그인이 되어버린다.. (또는 로그인이 되어있어서 로그아웃 했는데도 자동으로 로그인되어버릴 수도 있다.)

 

그럴 경우 office사이트로 들어가면 된다. 로그인이 되어있을 것이다. (안 되어 있다면 새 탭을 만들고 주소를 입력하면 되더라.)

오른쪽 위 사람 모양을 눌러 로그아웃 해주면 다른 계정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정상적으로 로그인 창이 뜰 것이다.

'Linux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vim)편집기 명령어 정리 (추가중)  (0) 2020.03.08
Oracle JDK 설치 (java)  (0) 2020.03.06
ffmpeg 설치 및 사용법  (0) 2020.03.04
Youtube-dl 설치 및 사용법  (0) 2020.03.04
자주 쓰는 명령어 및 정보 (추가중)  (0) 2020.02.28